학술 연구/Professional Development

교육 연구 및 통계 분석 강의 노트 / Lesson 2 현장 연구의 개념과 방법

Natural J 2016. 9. 16. 15:33

[서울대학교 행정교육원 교사를 위한 교육연구 및 통계 분석]

Lesson 2 현장 연구의 개념과 방법

현장 연구란 무엇인가?

  • 실천적 연구, 실천 연구
    • 현장 지향적
    • 실천 지향적
  • 이론의 수립, 일반화의 창출보다 즉각적인 적용에 관심

 

현장 교육 연구의 필요성

  • 특정 교육 현장의 독특한 문제 해결
    • 그 독특한 지역 또는 학교에서만 찾아 볼 수 있는 독특한 문제
  • 교직의 전문성
    • 문제에 대한 해결 방안 스스로 모색
  • 교육의 책무성
    • 자신의 교육 실천 행위에 대한 반성
    • 교육 여건 상의 문제 identify

현장 교육 연구의 의미

  • 특정 교육 장의 문제 직접 해결 도전
  • 교육 현장 전제
  • 직면한 문제 중심

현장 교육 연구의 특성

  • 목적: 실제 개선, 실천의 효과 증진
  • 내용: 교육 현장의 실제 문제
  • 주체: 교사
  • 방법: 과학적 방법
  • 결과: 구체적 방안과 해결전략 제시
  • 효과: 효율적인 교육 실천 방안을 구성할 수 있도록 정보 제공

현장 교육 연구의 유형

  • 교사의 일장적 교수 활동 유형
    • 교육행위의 반성결과를 가끔 실천에 반영
  • 교사의 자기 점검 유형
    • 교육 행위의 평가나 반성결과를 규칙적으로 실천 행위에 반영하려 노력
  • 교사- 연구자로서의 자기평가
    • 연구 결과를 체계적으로 실천에 반영하여 교사 자신의 교육 행위를 개선
  • 교사- 연구자로서 전형적 현장연구 유형
    • 연구 결과를 체계적으로 실천에 반영하여 실천을 변화시키고 가설 검증을 통하여 교육 실천 개선
  • 교사- 연구자로서의 전형적 학문적 연구유형
    • 이론의 정립에 기여하기를 원함

현장 연구 과정 모형 [Ebbutt, 198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