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 연구

2009 영어과 교육과정 개정안 개발 연구 요약

Natural J 2016. 9. 27. 18:43

교육과학기술부 (2011) 2009 영어과 교육과정 개정안 개발 연구

2013학년도 1학년부터 적용.


페이지 표시는 꼭지 시작 전 ~~/로 표시합니다. 


3/  개정의 필요성. 

  • 세계화, 정보화
  • 국제어로서 영어
  • 문화적 교류, 의사소통
  • >> 세계어로서 영어 이해와 구사 능력
  • 세계화, 지식정보화 시대의 가속화에 따른 영어 의사소통 능력 향상에 대한 개인적 필요를 충족시키고, 국가, 사회적 요구에 부응하기 위해 개정

4/
  • 개정의 기본 방향
    • 2009 교육과정 총론
      • 공통 교육과정 기간 조정 및 선택 교육과정 기간 확대
      • 교과군과 학년군의 도입
      • 교과집중이수제를 통한 학년 학기당 이수 교과목 수의 축소
      • 교과군별 수업 시수의 증감 운영
      • 창의적 체험활동
      • 자율성 확대

  • 영어 말하기, 쓰기 표현 능력의 부족의 원인
    1. 학교 영어교육에 있어서의 절대시간수의 부족, 
    2. 회화 및 작문 수업 내실화를 위한 학급당 학생 수의 과다 및 
    3. 학생간의수준차, 
    4. 학교 및 교실환경 미비, 
    5. 독해 및 문법 위주의 평가방식의 문제점, 
    6. 영어교사의 전문성 차이


  • 기본 방향: 학교 영어교육과 영어 교사등을 통해, 영어교육 목표인 학생들의 영어 의사소통 능력을 실질적으로 함양하고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이번 영어과 교육과정 개정의 기본 방향

◦ 실제적 영어 사용능력 향상을 위한 실용영어 교육 강화

- ‘의사소통 기능’, ‘언어 형식’ 관련 교육 내용의 구체화 및 체계화

- ‘교수․학습 방법’ 및 ‘평가’를 단계 및 언어 기능별로 구체적이고 세분화하여 제시

- 말하기, 쓰기의 표현 기능 향상을 위한 성취기준 추출 및 교수․학습방법과 평가 보강

- 정확성보다는 유창성에 중점을 둠으로써 실제적 영어 사용능력 중심의 실용영어교육을 강화


379/

  • 선택 과목으로서의 고등학교 영어 교과의 목표
    • 영어로 의사소통할 수 있는 능력을 길러서 
    • 학생 각자의 지적 역량이나 지식을 넓혀 주고, 
    • 미래의 주역으로서 시대적 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역량을 마련하기 위한 교과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