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어 논문 리뷰 작성에 도움이 되는 글
Contents[hide] |
- 이 글은 영어로 논문 리뷰를 작성할 때 도움이 될 수 있도록 다양한 예문들을 모아 정리해 놓은 곳입니다.
- Media:Review.doc를 눌러 보다 자세한 정보와 해설이 정리되어 있는 문서를 다운로드 받으실수 있습니다.
1.
논문이 주제에 대하여 말하려 할 때
1.1
이 논문은 다음과 같은 내용을 다루고 있다
- Example
- The following paper discusses the effective way to develop robust intelligent IDS with high efficiency and low system overheads.
- 해설
- 논문 전체에 대한 대략적인 설명을 하기 위해선 문장의 시작을 다음과 같이 하는 것이 적당하다.
- This paper suggests that 와 같은 표현도 사용 가능 하지만 위의 문장이 조금 더 전문적이다
1.2
주요 내용은 ~에 관한 것이다 / ~에 관한 내용을 구체화 시키고 있다
- Example
- The main topic is about biological immune system which embodies the superior characteristics including distribution ofmulti-level structures
- 해설
- 논문의 메인 토픽을 설명해 주고자 할 경우 위와 같은 표현을 사용한다. 메인 토픽에 대한 설명을 조금 덧붙여 설명하고자 할 경우 which embodies~~ 와 같은 표현을 사용한다.
- Of which include distributed ~~라는 표현 보다는 위와 같이 including distribution of 와 같이 써서 조금 더 자연스러운 문장으로 표현 하는 것이 좋다.)
1.3
~들이 이 글에서 논의 되어지고 있었다
- Example
- Increased demand variability in supply chains (the bullwhip effect) has been discussed in the literature.
- 해설
- 논문의 전체에 대한 대략적인 설명을 정리 할 경우 위와 같이 내용을 먼저 쓰고 뒤에 has been discussed in the literature와 같은 표현을 사용해도
- 전문성이 있는 글로 표현이 가능하다.
1.4
저자는 ~에 대하여 말(설명)하고 있다
- Example
- Authors state that robust IDS can be developed by using Biology immune system.
- 해설
- 저자가 주장하고자 하는 바를 말할 경우 say라는 말보다는 state라는 말을 사용하는 것이 더 전문적이다. 또한 developed by와 같은 표현을 사용할 경우
- 아래의 표현과 같이 수동형태를 정확하게 써주는 것이 문장을 읽을 때 의미상의 혼란을 주지 않는다.
1.5
~저자는 ~에 대하여 설명하고 있다
- Example
- The authors describe their design, architecture, and implementation of a system for supplier-relationship management.
- 해설
- 논문에서 저자가 말하고 있는 내용을 설명할 때 쓰인다. 주제를 설명하기 보단 핵심 설명 내용을 나열할 때 사용하면 좋다.
2.
논문의 초점, 요점과 어디에 기반을 두고 있는지 등을 말할 때
2.1
저자는 ~에 대하여 세가지 요점으로 구분한다
- Example
- The author outlines three types of heterogeneity problems: content heterogeneity, product catalog structure heterogeneity,and document structure heterogeneity.
- 해설
- 논문에서 보여주는 주된 요점을 정리하여 주고 싶거나 보여주고 싶을 경우에는 위와 같이 표현한다. 세가지 이상인 경우에는 맨 마지막 항목에만 and를 붙이는 것에 유의하자.
2.2
이 논문은 ~에 관하여 초점을 두고 있다
- Example
- This paper focuses on the generic complex e-commerce model and the MPDCON model.
- 해설
- 논문이 어떠한 내용에 초점을 두고 있느냐에 따라 다음과 같은 표현을 사용한다.
2.3
~을 기반으로
- Example
- This paper has some innovations and give a few improvements based on the traditional methods
- 해설
- based on the ~ 와 같이 어떠한 방식을 기반으로 논문을 써 내려갔냐를 써줄 경우 다음과 같은 표현을 사용하면 된다.
3.
잘 정리되어 있을 경우(근거)
3.1
이것은 또한 ~을 해결해준다
- Example
- It also solves resource dissemination and usage violations by the proposed MPDCON model
- 해설
- 기술에 대한 설명을 덧붙일 경우 무조건 And와 같은 접속사를 사용하는 것보다 also를 사용하여 문장을 자연스럽게 만들어주는 것이 좋다.
- Also를 사용할 경우 And와 같은 뜻이 중복되는 단어를 사용하지 않도록 조심하자.
3.2
B함으로써 A에 대하여 인상적인 접근을 보여주고 있다
- Example
- The author of this paper presents an interesting approach to data irregularities by refining information into a standard form.
- 해설
- 어떠한 개념에 대하여 인상적인 모습을 보여주고 있거나 어떤 방식으로 어디에 대한 접근을 시도한다는 표현을 위와 같이 한다.
3.3
~는 잘 정리되어 있다
- Example
- The catalog processing steps are well defined; however, an example could greatly clarify the matching process and serve to highlight the differences between traditional
- and improved catalog processing methods.
- 해설
- 내용이 잘 정리되어있다면 well defined라는 표현을 써주는 것이 좋다.
3.4
명확한 / A들이 어떻게 B 되는지를 도와준다
- Example
- The description of the MCI creation algorithm is sufficient, and the example helps to clarify how the MCI_T table is generated.
- 해설
- sufficient라는 표현과 helps to clarify how~ 라는 표현을 사용해 주어 잘된 점을 말해줄 때 사용하기 좋은 표현들이다.
3.5
~에 관해서 / 제시된 근거들
- Example
- With regards to experimentation, the included results are useful and speak to the viability of the MCI process.
- 해설
- 어떠한 것에 관하여 말하고 싶을 경우 with regards라는 표현을 사용 하며, 제시되어진 근거들이라는 표현을 쓰고 싶을 경우에는 the included results라는 표현을 사용한다.
4.
내용이 부족한 경우나 문제점을 지적할 때
4.1
~에 대한 실험적 근거나 설명이 없다.
- Example
- But there is no experimental result or explanation on working system.
- 해설
- are과 is 와 같이 단수 복수 형태를 신경 써서 사용하자. Explanation 에는 about이 아닌 on을 사용 한다.
4.2
~비록 ~임에도 불구하고
- Example
- Even though it is a good paper, the author must give some discussions in comparison between the existing researches and the proposed issues.
- 해설
- 위의 문장에서는 접속사로써의 Even though뒤에는 절이 와야 하지만 good paper라는 명사구가 왔으므로 문법적으로 틀리게 된다.
- 그러므로 접속사 뒤에는 동사가 포함된 절을 오게 함으로써 문법적 문장을 만들어야 한다.
- 하지만 사실상 Even though와 같은 표현은 잘 사용하지 않는다. 차라리 well defined 와 같은 표현을 사용하고 뒤에 however을 사용한다면 더 매끄러운 문장을 만들 수 있다.
4.3
이 논문은 ~에 대한 것이 빠져 있다
- Example
- The paper is missing a comparison with existing literature in the field of e-catalogs.
- 해설
- 논문의 내용 중에 빠진 부분이 있다면 위와 같이 missing이라는 표현을 사용하면 매끄럽게 문장을 만들어 낼 수 있다.
4.4
하지만 현재 비슷한 주제로 존재하는 논문들의 조사가 필요하다
- Example
- Overall, this paper is well written and organized, but there should be a survey on the other similar work.
- 해설
- 관련된 논문들과의 비교 등이 필요할 경우 다음과 같이 써준다.
4.5
저자는 자신의 주장에 대한 근거를 좀더 보여줘야 한다
- Example
- Authors should present some evidence to support their arguments.
- 해설
- 저자에 대하여 조금 더 많은 증거들을 달라는 요구사항의 표현이다. 이 경우 your contribution이라는 표현을 사용하기 보다는
- their argument라는 표현을 사용하는 것이 전문성이 있으며 have to보다는 should라는 표현이 적당하다.
4.6
~이 더 필요하다
- Example
- There needs to be more explanations on hybrid immune intrusion analysis engines
- 해설
- 다음과 같은 요구사항의 표현에선 Need 보단 There needs라는 표현을 사용하여 의미를 명확하게 하고 explain about의 경우도 explanations on 이라는 표현이 맞는 표현이다.
4.7
논문에 예시를 더 들어서 좀더 명확하게 해줄 필요가 있다
- Example
- This information motivates the discussion in the paper but could perhaps be explained more clearly with an example.
- 해설
- 예시를 조금 더 들어 달라는 요구를 할 경우 다음과 같은 표현을 사용하면 좋다.
4.8
불행하게도 이 논문에선 프로젝트의 가장 중요한 요소가 빠져있다
- Example
- Unfortunately, the most important component of the project (evaluation and validation of the system) has been left for future work.
- 해설
- 논문의 전반적인 상황에서 가장 중요한 요소가 결여되어있을 경우 다음과 같은 표현을 사용한다.
4.9
때문에 나는 저자가 말하고 있는 것에 대한 차이점을 찾지 못하겠다
- Example
- I don't see how this is different from what the authors point out as a flaw in the competing products.
- 해설
- 논문의 내용이 정확하게 떨어지지가 않고 근거나 어떠한 이유 때문에 문제제기가 필요할 경우 다음과 같은 표현을 사용하자.
4.10
~의 레벨에 미치지 못하고 있다
- Example
- unfortunately, the paper is not up to the level of current technology and art.
- 해설
- on the level이라는 표현은 잘못된 표현이고 up to level이 맞는 표현이다. 불필요하게 등위접속사 뒤에 생략할 수 있는 주어를 다시 사용하지 말자.
4.11
명확히 강조되다
- Example
- The advantages of reverse auction aren't clearly highlighted on this paper.
- 해설
- highlighted exactly라는 표현은 잘 안 쓰인다. Clearly highlighted가 자연스럽고 많이 쓰이는 표현이다.
5.
의문점이 생기는 경우
5.1
그러므로 이 글에 대한 타당성 여부에 대하여 의문점이 생긴다
- Example
- Thus, there are doubts about the validity of this statement.
- 해설
- 진술에 대한 타당성 여부에 대하여 의문점이 든다고 할 경우 good or not이라는 표현 보다는 위와 같이 validity라는 단어를 사용하여 좀더 전문성 있는 표현을 사용하자.
5.2
~에 대하여 의문점이 생긴다
- Example
- I doubt that the providers of e-catalogs are willing to store and integrate their catalog in a central repository.
- 해설
- 저자의 논문에 대하여 의문점이 생길 경우나 근거가 부족하여 잘 설득되지 않는 부분에 대하여 doubt라는 표현을 사용한다.
6.
전반적인 논문을 정리할 때
6.1
을 해결하다
- Example
- This paper discusses these conceptual measurement problems and discusses experiences in dealing with some of these problems in an industrial project
- 해설
- solve와 같은 의미로써 and와 같은 접속사 뒤에 연결되는 절로 연결 되어 있다면 dealing with 와 같은 표현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6.2
주제는 전망성이 좋다
- Example
- Overall, the direction of the paper is promising.
- 해설
- 리뷰의 마지막에 논문에 대한 전체적인 평에 앞서 좋은 내용이 경우 위와 같은 표현을 사용한다.
6.3
이 논문은 잘 쓰여졌다
- Example
- The paper is well organized and well written. The following are the ones that may need to be corrected.
- 해설
- 논문에 대한 전반적인 평가를 간략하게 내린 다음 수정해야 할 부분을 말하고자 할 때 다음과 같은 표현을 사용하자.
6.4
이 논문으로 ~로써 추천하겠다
- Example
- I would like to recommend this paper as the outstanding paper in the IEEE CEC 2007.
- 해설
- 논문이 뛰어나서 좋은 논문으로써 추천을 하고 싶을 경우 다음과 같은 표현을 쓴다. 밑의 나쁜 표현은 문장이 복잡하게 보여지므로 깔끔한 위 문장이 적당하다.
7.
간단한 기술적 표현들
7.1
~의 품질 / ~의 분류
- Example
- he has to consider the quality of ontology. Structural analysis of ontology is good way to evaluate the quality of ontology.
- Example
- And categorization of ontology by description ability is interesting.
- 해설
- 저자가 논문에 쓴 기술에 대한 점을 설명할 경우 he has to consider (기술내용)으로 표현하는 것이 가장 일반적이다.
- 또한 ontology quality라고 표현 하는 것보단 the quality of ontology라고 표현 하는 것이 더 전문적이다.
- Ontology categorization도 마찬가지로 categorization of ontology라고 하는 것이 더 자연스러운 표현이 된다.
7.2
~이 주제에 관한 정보들은 빠르게 변한다
- Example
- Furthermore, authors should use references published in 2005 and *2006 because the information on this topic advances rapidly.
- 해설
- Furthermore같은 단어를 Further라고 잘못 사용하지 말자. 또한 area나 changing very fast라는 표현 보다는
- information on this topic advances rapidly가 더 전문적인 표현이 되겠다.
7.3
~에 쓰여질
- Example
- The paper presents an index structure to be used to index and search e-catalog documents.
- 해설
- to be used in이란 표현 보다는 to be used to가 맞다.
7.4
pseudo 코드가 ~하기에 충분히 자세하지 않다
- Example
- the pseudo code is not in detail enough to~
- 해설
- 어떤 자료에 대하여 자세하지 않을 경우 다음과 같은 표현을 사용하는데 no detailed라는 표현보다는 not in detail이란 표현이 맞는 표현이다.
- Welcome to IDS Lab.
'학술 연구' 카테고리의 다른 글
How to Write a Good Review Article (0) | 2016.10.30 |
---|---|
Citing Articles: Horwitz 1985 Foreign Language Classroom Anxiety (0) | 2016.10.29 |
설뭄 문항 구성 (0) | 2016.10.14 |
논문검색 및 대학원 생활 팁 (0) | 2016.10.07 |
Top Journals International (0) | 2016.09.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