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활한 대화 과정을 위한 진행자의 역할

1) 번역 지원

- 대화가 원활하게 진행되지 않을 때 진행자의 역할 1) 번역 지원, 2) 잃어버린 의미 지원 >> 대화 재개
- 번역이란: 평가의 말을 번역

ex. B는 지각을 밥 먹듯이 해요 
>> 진행자: 저는 조금 다르게 들었습니다. 제가 들은 것은 "나는 네가 지각하지 않도록 노력해주기를 바라"
"그리고 네가 지각하지 않겠다고 했던 말고 믿고 싶고, 그리고 앞으로 달라진 모습을 볼 수 있기를 바라"
A에게 "하고 싶던 말이 맞나요?"

본래 의도한 말이 안전하게 전달될 수 있도록 도움.

2) 잃어버린 의미 지원

- 정보가 충분히 전달되지 않고, 중요한 의미를 잃어버린 경우

- 진행자의 멘트: 저는 다른 것을 들었습니다. 

3) 공감적 경청

- 진행자의 가장 중요한 역할: 잘 듣는 것 & 의미 전달 지원
- 공감적 경청: 상대의 말을 있는 그대로 들을 수 있는 능력

- 공감의 4요소 (비폭력대화 훈련가, 존 키니언)
존재 공감: 나의 온 주의를 상대에게 두기, 이해하려는 시도 없이 말하는 것 듣기
침묵 공감: 상대에 대한 이해와 욕구 언어를 침묵으로 생각하기
의미 이해 공감: 내가 들은 경험을 상대방이 이해 받는다고 느껴지도록 반영, 상대방이 사용한 언어를 그대로 사용해서 반영해 주며 듣기
욕구 언어 공감: 관찰, 생각, 느낌, 원하는 것을 욕구와 연결, 욕구를 음미하거나 욕구에 깊이 연결

출처: 에듀니티, 회복적 정의와 비폭력대화를 기반으로 한 회복적 생활교육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