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9 중등 회복적 생활교육 직무연수 2기 강의 후기
제 1일: 감정코칭을 통한 공감교실
강사: HD행복연구소 홍경민 강사
시작하기 활동 '체크인'
보통 이런 연수에 오면 각기 다른 학교에서 모인 교사들이 서먹해하며 앉아 있기 마련이다. 5회차 강의 중 첫 차시답게 마음열기 단계를 준비해주셨다. 이 활동에서 참여자 중 두 명이 뒤로 돌아 앉아 3~4명이 한 모둠을 만들고, 아래와 같은 질문을 소재로 자기 소개를 나눈다. 이 활동은 교실에서 가볍게 조회 시간에 아이들끼리 하도록 할 수도 있다. 그래서 '체크인'이라고도 부른다. 추후에도 계속 모둠에서 혹은 짝과 실습을 해야하기 때문에 이런 OT 단계에서 시간을 좀 들더라도 서로 얼굴을 보고 이야기를 나누는 것이 의미가 있다.
[체크인 질문]
- 이름 소개
- 최근에 좋아하는 것
- 이 곳에 온 지금의 기분, 오늘의 에너지 레벨(0~10)과 그 이유
주제 1 사춘기 아이들의 뇌
최근에도 중학교에서 자는 아이를 깨우던 여교사가 학생에게 두들겨 맞는 일이 있었다. 그 선생님이 겪으셨을 고통을 생각하면 마음이 괴롭다. 이런 소식을 접하면 교사들은 학교에서 혹시라도 이런 상황에 처하게 될까 두려운 마음도 들고, 많은 학교 현장의 변화 속에서 교사의 목소리가 반영되지 않는다는 것에 무력감도 느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아이들을 이해하고 아이들이 이런 실수와 잘못에서 멀어질 수 있도록 도와주어야 한다. 아이들을 이해하는 것이 먼저이다. 사춘기 아이들의 뇌는 성인과 많이 다르다. 자세히 알아볼 필요가 있다.
대뇌피질 (Cerebral Cortex)
- 인간의 뇌 중 우선 순위를 정하고, 감정을 조절하고, 충동을 조절하는 부분
- 이 부분은 언제 최종적으로 성장을 마칠까? 정답은 25~30세이다.
- 우리가 만나는 중등학교 아이들은 14~19살에 불과하다.
- 한 번만 더 생각하면 하지 않을 실수를 하는 이유. 이 전두엽이 다 발달하지 못해서이다.
- 전두엽 = 인간의 뇌, 이성의 뇌
변연계 (Limbic system)
- 대뇌반구의 안쪽 밑면
- 감정을 다스리고, 기억을 주관하며, 호르몬을 담당하는 역할
- 감정과 식욕, 성욕이 주로 처리됨
- 파충류는 변연계가 없음
- 변연계 = 포유류의 뇌
뇌간(Brain Stem)
- 호흡, 혈압조절, 체온 조절, 심장 박동 등 생명 유지
- 뇌간은 파충류와 유사함
- 뇌간 = 파충류의 뇌
참고 자료: 삼성 서울병원. 행복한 자녀 교육. 청소년의 뇌는 공사 중
주제 2 대화의 세 가지 방식
원수되는 대화
- 상대의 말에 즉각적으로 반박하는 것이다. 예) A: 담임 정말 힘드네요. B: 에이~ 나 때는 더 힘들었어.
- 관계를 망치는 네 가지 독이 있다. 1) 비난 2) 경멸 3) 방어 4) 담쌓기 가 그것이다.
멀어지는 대화
- 상대의 말에 침묵하거나 반응을 보이지 않는것, 혹은 전혀 상관없는 다른 화제로 바꾸는 것
- 상대는 무시당한 기분이 들어 무안하고, 마음이 멀어지게 된다.
다가가는 대화
- 상대의 말을 경청하고, 관심을 보이고, 공감을 해주는 것이다.
- 감정 반영해주기: 아이가 말한 표현 그대로 따라하되, 감정에 집중하여 주기
- 관심 보이기: 질문하되 '왜'가 아닌 '무엇' '어떻게' '언제' 등으로 질문하기
- 공감 하기: "그래, 그럴 수 있겠다" "나도 그랬던 적이 있어" "누구든 너의 상황이라면 그런 마음이 들겠다"
오늘은 수능 연휴 3일 이후 말하기 수행평가를 하는 날이었다. 아침부터 너무 신경이 곤두서고, 1, 2, 4교시에 연이어 수행평가 실시와 평가를 해야해서 여유가 없었다. 나를 찾는 많은 아이들에게 '안돼' '너무 바쁘다' '왜그러니' 제대로 준비하지 않은 아이들에게는 '장난하니' 같은 가시 돋힌 말을 많이 했다. 원수되는 대화를 한 것 같아 마음이 불편하다. 내일 만나면 '어제는 선생님이 너무 바빴어.' '하고 싶은 말이나, 지금이라도 도와줄 게 있니?'라고 물어주어야겠다.
참고 자료: 자녀와의 통하는 대화로 자신감 넘치는 아빠가 되세요!
마무리 활동 '장점 찾기'
칭찬하는 좋은 방법을 배웠다. 아래와 같이 한다. 아이들끼리 4명이 되도록 모아서 충분히 할 수 있는 좋은 활동으로 여겨진다. 활동 시 중점 사항은 '칭찬을 듣고 마음에 어떤 느낌이 드는 지 집중할 것'이다. 연휴 뒤의 월요일, 큰 수행평가을 치르고 채점까지 해야해서 아이들을 여유를 가지고 대하지 못해 힘든 퇴근길이었는데, 밤 8시 이 연수에서 '장점 찾기' 마무리 활동으로 하고 집에 돌아오는 발걸음이 참 가벼웠다. 내일 종례 시간에 꼭 같이 해야겠다.
B: 안녕하세요. 저는 000입니다.
A: 제가 생각하기에 000님의 장점은 ~~~인 것 같아요.
B: 감사합니다.
C: 제가 생각하기에 000님의 장점은 ~~~인 것 같아요.
B: 감사합니다.
D: 제가 생각하기에 000님의 장점은 ~~~인 것 같아요.
B: 감사합니다.
B의 차례가 끝나면 A에게, C에게, D에게 돌아가며 장점을 찾아주면 된다. ^^
'고등 담임 > 회복적 생활교육'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글쓰는 교사가 되고 싶다. (0) | 2019.11.17 |
---|---|
회복적 대화 모임 - 사후 서클 (0) | 2019.02.06 |
회복적 대화 모임 - 대화 진행 (0) | 2019.02.06 |
회복적 대화 모임 - 본 서클 모임의 과정 (0) | 2019.02.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