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대학교 행정교육원 교사를 위한 교육연구 및 통계 분석]
Lesson 5 교육 연구의 일반적 절차 3,4
교육 연구의 대상과 검사(측정)도구
교육 연구의 대상
- 어떤 사람을
- 얼마나 많은 사람을
- 어떠한 방법으로
- 선정하느냐 하는 것을 결정해야 함.
대상의 수
- 실험 연구는 30명 이상 전제,
- 일반적 결론을 내리려면 50명 이상
- 전체 사례 수의 10% 범위 수준에서 해야 한다
- 경향성을 알려면 샘플링
- 개개인의 향상도 진단 등 결과를 찾으려면 전체를 잡아야 함.
- 건강 진단을 통해 증진할 목적이면 전체를 대상으로 함
면담도구
- 질적 연구의 경우: 면담지 > 면담자의 전문성이 질적 수준을 결정
- 검사 도구를 직접 제작할 경우 제작의 전 과정을 자세히 기술
- 제작되어 있는 도구를 활용할 경우
- 검사의 이름, 특성, 문항 수, 제작자, 제작연도, 타당성, 신뢰도 등을 자세히 기술해야 함.
- 적합도: 목적, 취지에 얼마나 적합한가?
- 타당도: 내용의 문제가 되면 타당도 부족
- 신뢰도: 정확성 – 얼마나 정확하게 재는가
- 실용도: 경제적, 현실적 여건에 맞는지
자료의 수집과 분석 방법
내적 타당도
- 연구 결과가 옳다고 믿을 수 있느냐는 문제
- 정확하고 신뢰롭게 해설할 수 있느냐
- 연구 자체가 제대로 잘 이루어졌는가?
외적 타당도
- 연구 결과를 다른 상황에도 적용 가능?
- 일반화 할 수 있는가?
- 이 연구가 다른 상황에도 적용될 수 있는가?
내적 타당도를 낮게 하는 요인들
- 역사 (시간 표과) 예. 천재지변, 행사
- 성숙 ( 피험자 내부의 변화) 예. 몸무게, 키, 사춘기
- 검사의 경험에 익숙해지는 경우 ( 같은 검사를 여러 번 사용하는 경우)
- 검사 도구의 변화: 서로 다른 검사를 사용하는 경우
- 통계적인 회귀 현상 statistical regression
- 연구 대상 선정: 대상의 선정이 잘못된 경우 예) 전화 상담
- 실험적 도태: 중간에 탈락자가 발생하는 경우 (종단 연구)
- 연구자의 의도 – 목소리, 표정, 제스처
외적 타당도를 낮게 하는 요인들
- 표집상의 오류
- 변인에 대한 애매한 정의
- 독립 변인이나 종속변인에 대한 정의가 애매모호하여 다른 상황에서 동일한 연구를 수행하기 어려운 경우
- 호손효과
- 동조 혹은 반발효과 – 지금 어떤 연구를 하고 있구나 > 보상이 있다
- 질이 낮은 검사 도구
- 특별한 개인적인 학부모가 만든 시험지 실시 > 질이 낮음
연구 결과 분석
자료 수집 방법의 유형
- 문헌 분석법
- 질문지법 : 설문지_ 답이 없거나 의견을 물을 때
- 통상적으로 설문지라는 말을 씀
- 자유 반응형
- 선택형
- 체크리스트형
- 순위형
- 평정척도형
- 분류형
- 델파이법 : 일반적으로는 안쓰임?
- 아폴로 신전이 있었던 곳 - 델파이
- 전문가들이 미래를 예측하는 방법
- 절차가 복잡하고 연구논문에는 자주 쓰지만 요즘에는 변형된 형태로 전문가 협의회를 함.
- 관찰법
- 면접법
- 사회성 측정법 ( 친구, 교우 관계 / 누구랑 가장 먼저 상담하겟습니까? > 신뢰하는 중요한 인간 관계 파악)
- 의미 분석법
- 단어가 주는 의미, 특정 대상에 대한 정서적 반응 체크
- 옜날 사람들과 요즘 사람들의 단어 의미 차이
- 표준화 검사법
- 교육 및 심리 검사법
결과 분석 시 고려사항
- 실제로 연구를 수행한 결과를 체계적으로 분석하고 해석한 것을 제시해야 함
- 각 연구 문제나 각 연구 가설 별로 그 결과를 분석하고 진술하는 것이 바람직함
연구 결과
- 다양한 연구 방법을 통해서 수 없이 많은 자료를 수집하고 그 수집한 자료들을 연구 문제나 연구 가설 별로 분석, 제시, 해석하는 것
요약 및 논의 시 고려사항
- 요약 부분: 연구한 전체 과정과 그 결과를 체계적으로 요약, 정리하여 제시해야 함
- 논의 부분: 연구를 수행하는 과정에서 연구 문제나 가설과 관련이 있는 사항 중 추가적으로 논의하고자 하는 것을 진술해야 함
- 제한점, 후속 연구 제안을 별도로 진술할 필요
여기까지 초안 형태로 썼다가> 최종 보고서 작성
연구 보고서 작성 시 유의점
- 정확성
- 일관성
- 간결성
- 평이성
최종 보고서를 평가할 때는 주로 하위 기준들을 활용하므로, 기준들을 고려하여 작성할 필요가 있음
보고서 작성에 고려해야 할 점
- 논문의 독창성
- 연구 내용의 충실성
- 연구 방법 및 결과 해석의 타당성
- 지적 정직성
- 학문 발전의 기여도 등
연구한다: 탐구활동의 공적 측면을 강조하는 것임
'학술 연구 > Professional Development'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교육 연구 및 통계 분석 강의 노트 / Lesson 7,8 석박사 학위논문 작성법 (0) | 2016.10.03 |
---|---|
교육 연구 및 통계 분석 강의 노트 / Lesson 7,8 석박사 학위논문 작성법 (0) | 2016.10.03 |
교육연구 및 통계 분석 강의노트 / 교육 연구의 일반적 절차1,2 (0) | 2016.09.16 |
교육 연구 및 통계 분석 강의 노트 / Lesson 2 현장 연구의 개념과 방법 (0) | 2016.09.16 |
교육 연구 및 통계 분석 강의 노트 / Lesson 1 교육 연구의 개념과 유형 (0) | 2016.09.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