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대학교 행정교육원 교사를 위한 교육연구 및 통계 분석]
Lesson 11 현장교육 연구 보고서 작성법
DRIP Syndrome
Data Rich Information Poor (DuFour, 2004)
- 현장에는 정보가 많으나 이를 가공할 수 있는 지식과 기술이 부족함.
- 지식소비자로 머무를 것인가?
- 지식생산자로 거듭 태어날 것인가?
데이터 가공 능력 = 현장 연구 역량 (전문지식, 기술, 태도)
현장 연구의 역사
1920s John Dewey의 업적
1930s 구체화된 것은 Lewin을 비롯한 사회 심리학자들이 사회를 연구할 때 현장연구 모델 구체화
1949, 1953 Corey 현장교육연구 필요성
현장연구= Action Research, 실행연구, 행동연구 (번역 상의 차이)
Kemmis(1985) 사회적 상황 속에서 실천가들이 자신의 실천행위에 대한 이해와 그 효과를 증진시키기 위하여 수행하는 자기 반성적 활동
한국교육평가학회 (2004) 정의
현장 연구의 특징
1. 주기적 순환성
- 계획-실행-검증 을 거침
2. 적극적 참여
- 교사의 적극적 참여(역할분담과 협력) 강조
3. 반성적 활동
- 현장 개선에 즉각적 도움
현장 교육 연구의 구성요소 (5C)
헌신Commitment
협력Collaboration 역할 분담과 동등한 지위로 협력관계 유지
관심 Concern 인간적 대화와 친밀한 관계 유지
반성 Consideration 연구 전반 면밀한 검토
변화 Change 궁극적으로 아동의 행동 변화에 초점
연구 주제의 원천
- 연구자의 관심과 흥미
- 교육 현장의 경험
- 전공 서적이나 논문
- 전문가와의 대화
- 학술 대회 참여 등
연구 주제의 선정 기준
- 참신하고 새로운
- 교육 개선에 도움 여부
- 참신성, 구체성, 가능성, 공헌도, 윤리성
현장연구 연구 주제의 선정
1. 선행연구물과 유사
2. 연구 자료를 손쉽게 구할 수 있는 분야를
3. 연구 방법이 가능한 쪽을 택하라
4. 검증 방법도 염두에 두어야 한다
교육 연구 제목의 진술
1. 구체적 간결 명확 서술
2. 중심 단어 포함
3. 속어 사용 하지 않음
4. 가치 중립적 단어 사용
5. 가능하면 부제를 원제에 포함시킨다.
6. ~에 관한 연구, ~의 실험연구 용어를 사용하지 않는다
한국교총 2009 전국현장교육연구대회
대표적 제목 예시
- 단계적 생태체험 미술활동을 통한 창의적 표현력 신장
- 멘토링을 활용한 저경력 교사의 전문성 계발
'학술 연구 > Professional Development' 카테고리의 다른 글
참고문헌 표기 약어 (영어) (0) | 2016.10.04 |
---|---|
교사를 위한 교육연구 및 통계 분석 Lesson 14 현장연구 보고서 작성법 4 (0) | 2016.10.03 |
교육 연구 및 통계 분석 강의 노트 / Lesson 7,8 석박사 학위논문 작성법 (0) | 2016.10.03 |
교육 연구 및 통계 분석 강의 노트 / Lesson 7,8 석박사 학위논문 작성법 (0) | 2016.10.03 |
교육 연구 및 통계 분석 강의 노트 / Lesson 5 교육 연구의 일반적 절차3 ,4 (0) | 2016.09.18 |